한국콘텐츠진흥원의 '2024 만화산업백서'에 따르면, 웹툰을 유료 결제한 독자들의 월평균 금액 중 1000원~3000원 미만이 23%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5000원~10000원 미만은 22.8%, 3000원~5000원 미만은 18.6%로 집계. 2022년에 비해 웹툰에 30000원 이상을 소비하던 독자 비율이 15.7%에서 2024년 5.6%로 감소하며유료 결제율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. 반면 인스타그램에서 연재되는 '인스타툰'의 이용률이 20.9%로 오르면서 상관 관계가 작용하는지 주목 필요
대한출판문화협회 산하 한국출판독서정책연구소에 따르면, 만 19세 이상의 국민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‘2023년 독서문화 통계’ 결과 보고서에서 2023년 국내 성인 10명 중 4명은 웹툰을 감상하고, 연간 약 55편을 소화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.
[2024.10.23]
웹툰의 불법 유통이 이어지면서 2024년 8월 기준 총 피해액이 8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 중. 2024년 10월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강유정 의원실이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, 2024년 8월 한 달 동안 22억 5000만 건의 페이지 뷰와 2억 6000만 회의 총 방문자 수, 1220만명의 순 방문자 수를 기록. 이는 8월 한 달 피해액이 6750억 원, 한 해 기준 8억1000만 원 수준으로 파악
[2024.10.22]
일본의 디지털 만화 시장 규모가 처음으로 4조원을 넘기며 디지털 만화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. 일본출판과학연구소은 2023년 일본 디지털만화 판매 추정 금액은 약 4830억엔(약 4조3000억원)을 기록했다고 발표
한국기술정보연구원(ASTI)이 내놓은 ‘Market Insight 보고서’는 국내 웹툰 시장 규모가 2021년 1조 1,217억 원에서 2026년 3조 2,229억 원까지 연평균 23.5%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. 눈에 띄는 점은 글로벌 웹툰 시장이 2021년 36.7억 달러에서 2026년 149.5억 달러로, 연평균 32.4%의 가파른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
[2024.10.21]
한국콘텐츠진흥원의 만화산업백서에 따르면 인스타그램을 통해 웹툰을 보는 독자의 비율이 2021년 5.9%에서 2022년 11.5%, 2023년 13.6%로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. 프로부터 아마추어까지 웹툰 작가와 지망생들의 활동이 늘어나면서 '인스타툰'이라는 용어가 등장. 주요 특징으로는 지방자치단체나 공공기관, 일반 기업, 단체 등이 인스타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
[2024.10.28]
[2024.10.23]
[2024.10.22]
[2024.10.21]